2026년 기준중위소득, 80개 정부 복지사업 한눈에 정리

기준중위소득복지사업

2026년도 기준중위소득이 역대 최대인 6.51% 인상되면서, 더 많은 국민이 다양한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.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기준중위소득은 현재 14개 부처, 80여 개 복지사업의 수급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으며, 이번 인상으로 생계급여·의료급여·주거급여·교육급여 등 주요 지원의 문턱이 완화됩니다.

이번 글에서는 부처별로 어떤 복지사업이 기준중위소득을 기준으로 대상을 선정하는지 80개 전부를 정리해 드립니다.

기준중위소득이란?

기준중위소득은 전국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말하며, 가구 규모에 따라 산정됩니다. 이는 생계급여·의료급여 등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포함해 여러 복지사업의 수급자 선정 기준이 됩니다. 예를 들어, 생계급여는 기준중위소득의 32% 이하, 의료급여는 40% 이하, 주거급여는 48% 이하 등으로 규정됩니다.

2026 기준중위소득 표

부처별 기준중위소득 연계 복지사업 80개

1. 고용노동부

  • 국민취업지원제도

  • 산재 근로자 생활안정자금융자

  • 근로자 생활안정자금 융자

  •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

2. 교육부

  • (기초생활) 교육급여

  • 한부모가족 자녀 교육비 지원

  • 초중고 교육비 지원사업

  • 국가장학금

  • 평생교육이용권

  •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

  • 우수고등학생 해외유학 장학금

  •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

3. 국가보훈부

  • 국가유공자 등 생활조정수당

  • 참전유공자 등 생계지원금

  • 독립유공자 손·자녀 생활지원금

  • (보훈대상자) 요양지원

  •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무료법률 구조 지원

4. 국토교통부

  • (기초생활) 주거급여

  • 행복주택 공급

  •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

5. 농림축산식품부

  • 학교우유급식

  • 농식품바우처

6. 산림청

  •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

  • 산림일자리(숲가꾸기, 산림재해일자리, 산림서비스도우미)

7. 문화체육관광부

  • 예술활동준비금 지원

  • 통합문화이용권

  • 스포츠강좌이용권

8. 법무부

  • 법률 구조 제도

9. 보건복지부

  • (기초생활) 생계급여

  • 해산장제급여

  • 긴급복지

  • 장애수당(기초)

  • 장애수당(차상위)

  • 장애아동수당

  • 차상위계층 지원(본인부담 경감)

  • (기초생활) 의료급여

  • 장애인연금

  • 재난적 의료비 지원

  •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(영양플러스)

  • 자활근로

  • 장애인 자립자금 대여

  • 노인안검진 및 개안수술

  • 발달재활서비스

  • 언어발달지원

  • 희망저축계좌(Ⅰ,Ⅱ), 청년내일저축계좌

  • 장애아가족양육지원

  •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

  •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

  • 치매 검진 지원

  • 저소득층 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

  • 가사간병 방문지원사업

  • 노인 무릎인공관절 수술 지원

  • 장애정도심사 검사비·진단서 발급비 지원

  • 아동발달지원계좌

  • 전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

  • 상병수당 시범사업

  •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
  • 암환자 의료비 지원

  •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

  • 장애인 의료비 지원

  •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·퇴근비용 지원

10. 질병관리청

  •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

  • 입원·격리치료명령 결핵환자 부양가족 생활보호비 지원

11. 여성가족부

  • 위기청소년 특별지원

  • 청소년한부모 자립지원

  •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서비스

  •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

  • 디지털미디어 피해 청소년 회복 지원

  • 아이돌봄 서비스

  • 한부모가족 복지시설 지원

  • 온가족보듬사업

  • 청소년 부모 아동양육비 지원

  •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

  • 건강가정 및 다문화가족 지원(저소득 다문화가족자녀 교육활동 지원비)

12. 통일부

  • (북한이탈주민) 의료비 지원

13. 금융위원회

  • 청년도약계좌

14. 산업통상자원부

  • 에너지바우처

  • 에너지 취약계층 고효율조명기기 무상교체

  • 저소득층 에너지효율 개선

마무리

기준중위소득 인상은 단순한 숫자 변화가 아니라, 더 많은 국민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문이 열린 것을 의미합니다. 본인이 해당되는지 확인하고, 복지로·정부24 등에서 신청 절차를 밟는다면 실질적인 생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2026년은 복지의 문턱이 낮아진 해입니다. 필요한 지원이 있다면 꼭 챙겨 받으시기 바랍니다.


다음 이전